본문 바로가기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의미. 지역? 특별한 공식이 있으나, 굳이 궁금하신 부분은 서칭해보시기 바랍니다.

ustin9 2020. 10. 24.
반응형

​주민등록번호에 호기심을 가지게 된 적은 없으신가요? 앞에 6자리는 내 생년월일이고, 나머지 뒷자리는 어떤숫자일까요? 남녀 구별이다, 지역별이다 라는 말이 참 많지요? 주민등록번호는 정부에서 국민 개개인에게 부여해주는 번호입니다. 아라비아 숫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 1개도 중첩되지않은 개인 고유의 식별번호입니다. 한국에서 태어나셨다면, 세상에 빛을보는 동시에 출생신고를 하게 될겁니다. 이때 주민등록번호가 주어집니다.

 

 

주민등록증을 발부받으신 분들은 주민등록증 최초발급날을 잘 잊지 못할겁니다. 아마 우리가 고등학교때 였겠지요? 만 17세때 국민의 의무로 주민등록증을 발급받아야합니다. 주민등록증 최초발부는 1970년 때 부터 의무화 되었습니다. 대통령을 시해하려는 남파공작원과 국민을 식별하기위에 열두자리의 번호를 부여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박정희 대통령의 주민등록번호가 1호 주민등록번호입니다. 궁금하신 분들은 이 글을 다 읽고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정말 놀라운 조합으로 되어있습니다. 1970년대에는 열두자리로 구성하였으나 1975년 부터 현재에는 열세자리로 구성합니다. 주민등록번호는 한국개발연구원에서 미국의 사회보장번호 프로토콜을 참고하여 그 식을 구성하였습니다. 예를 들자면 KKOORR-EMFKSNA 처럼 구성됩니다.

 

 

본론으로 돌아와서 앞 여섯자리는 생년월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그리고 주민등록번호 뒷자리는 남자인지 여자인지, 출생 신고를 한 지역의 주민센터가 어디인지, 신고한 주민센터의 몇호(?) 몇 번째 신고자인지가 표기됩니다. 생년월일은 다른사람이 중복될 수 있지만 주민등록번호 모두가 같을 확률은 극히 적습니다. 지역출생신고이며 해당 주민센터의 순번별로 부여되기 때문입니다.

 

 

KKOORR-EMFKSNA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뒷자리의 E는 성별을 나타냅니다. 1900년대 출생을 한 사람들 중 남성은 1이라는 숫자가, 여성은 2라는 숫자가 부여됩니다. 2000년대 출생한 출생자들은 남성은 3, 여성은 4로 부여받게 됩니다.

 

 

그리고 MF는 광역번호입니다. 쉽게말해 내가 속한 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만약 해당시가 광역시로 변경된다면 광역시의 번호가 새로부여가 되는데요, 부여된 숫자가 변경된 이후 출생자만 이 번호를 부여받는다고 합니다. 이전 출생자는 이전의 번호를 계속해서 사용하면 된다고 합니다.

 

 

​아래에 지역번호를 나열하겠습니다.

서울특별시 00~ 08

경기도 16~ 25

인천광역시 13~ 15

강원도 26~ 34

충청북도 35~ 39

충청남도는 41~ 43 or 45~47

세종특별자치시 44, 96

대구광역시 67~ 70

경상북도 71~ 81

경상남도 82 ~84 or 86~91

울산 85

부산광역시 09~ 12

대전광역시 40

전라북도 48~ 54

전라남도 55~ 66

광주광역시 55, 56

제주도 92~95

나열하고보니 어지럽지요?? 내 주민번호와 비교해보는 재미도 있으실겁니다.

 

 

​KKOORR-EMFKSNA 중

그 뒷자리 두자리 KS는 출생했을 때, 출생신고를 한 주민센터의 고유번호입니다. 이는 행정자치부에서 부여했으며, 읍면동 기준으로 부여했습니다.

 

 

그리고 N부분은 한 가정내의 해당 읍면동 주민센터 등록순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사를 자주다닌 가정의 1남 1녀라면, 각각 다른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신고했다면 대부분 1일 겁니다. 한 가정내에 같은 주민센터에 신고를 했다면 둘째는 2, 셋째는 3이 되겠지요. 쌍둥이도 마찬가지입니다.

반응형

댓글